CTA(Call To Action) CTA(Call to Action)는 웹사이트, 앱, 광고에서 사용자가 특정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설계 기술입니다. CTA는 보통 버튼이나 링크 형태로 나타나며, "구매하기", "더 알아보기", "가입하기"와 같은 강력한 동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CTR (Click-Through Rate) CTR(클릭률)이란? CTR(Click-Through Rate)은 디지털 마케팅에서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로, 광고를 본 사람들 중 실제로 그 광고를 클릭하여 해당 웹사이트나 제품 페이지에 방문한 비율을 의미합니다. CTR은 광고…
Database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단순한 파일 저장소가 아니라, 검색, 수정, 삭제, 추가 등의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를 가집니다. 웹사이트나…
dp (Density Independent Pixel) DP(Density Independent Pixel)은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픽셀 단위로, 다양한 화면 밀도와 해상도를 가진 디바이스에서 일관된 크기의 UI 요소를 보여주기 위해 설계된 단위입니다. DP는 디스플레이의 밀도에 독립적인 픽셀로, 화면 크기와…
dpi, ppi PPI(Pixels Per Inch)와 DPI(Dots Per Inch)는 이미지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각각 디지털 디스플레이와 인쇄 출력물의 화질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PPI (Pixels Per Inch) 디지털 환경에서는 주로 72 PPI가…
F-패턴 (F-Pattern)과 Z-패턴 (Z-Pattern) F-패턴이란? F-패턴은 웹 페이지의 내용을 사용자가 스캔할 때 주로 따라가는 눈의 움직임을 나타낸 것입니다. 사용자는 페이지의 왼쪽 상단부터 읽기 시작하여 수평으로 이동한 후, 세로로 아래로 이동하며 새로운 정보를…
FAB(Floating Action Button) FAB(Floating Action Button)은 UI 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떠 있는 버튼으로, 사용자에게 중요한 행동을 언제든지 클릭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UI 요소입니다. 주로 안드로이드에서 자주 사용되는 유형으로, 리스트나 콘텐츠…
Framework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Framework)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미리 정의된 코드 구조 및 도구 모음을 의미합니다. 개발자는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일정한 규칙과 패턴을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Front-end (프론트엔드) 프론트엔드(Front-end)는 사용자가 직접 보고 상호작용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를 개발하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즉,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화면에 보이는 모든 요소(버튼, 입력창, 이미지, 네비게이션 바 등)를 구성하고 동작하게…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웹 개발의 기초로, 문서의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구성하며, 웹 브라우저가 이를 해석하여 사용자에게 화면을 출력합니다. HTML은 단독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CSS(Cascading…
JavaScript (JS) JavaScript(JS)는 웹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HTML이 웹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고, CSS가 디자인을 담당한다면, JavaScript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처리하고, 웹사이트를 더욱 동적으로 만들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JavaScript는 웹 브라우저에서…
JWT (JSON Web Token) JWT(JSON Web Token)는 JSON 기반의 경량 토큰으로, 사용자 인증과 정보 교환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증 방식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JWT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또는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