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라이제이션 예시

다국어 지원 (Localization)

다국어 지원이란?

다국어 지원(Multilingual Support)은 애플리케이션, 웹사이트, 디지털 제품에서 여러 언어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언어별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단순한 텍스트 번역뿐 아니라, 날짜/시간/통화 형식, 방향성(LTR/RTL), 이미지, UI 흐름까지 포함됩니다.

  • Localization(로컬라이제이션): 특정 지역과 언어에 맞게 콘텐츠를 맞춤화하는 작업
  • Internationalization(i18n, 국제화): 다국어 및 지역화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는 작업

Localization은 실제 번역과 현지 적용을 의미하고, Internationalization은 그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 단계에서 준비하는 인프라를 뜻합니다.

왜 다국어 지원이 중요한가?

  • 글로벌 유저 확보: 더 많은 사용자가 모국어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시장 확장 가능
  • 신뢰감 형성: 사용자가 익숙한 언어와 지역 형식을 볼 때, 서비스에 대한 신뢰와 만족도가 증가
  • 법적/문화적 대응: 특정 국가의 규제, 문화적 차이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 확보
  • 접근성 향상: 언어적 장벽을 낮추어 다양한 사용자층에게 접근성을 보장

Localization vs. Internationalization (i18n)의 차이

구분설명
Localization (L10n)번역, 통화/날짜 형식 변경, 이미지 및 색상 최적화 등 현지화 작업
Internationalization (i18n)여러 언어와 지역에 대응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는 과정
목적콘텐츠를 현지 문화에 맞게 적용
시기주로 배포 직전 또는 운영 중에 수행

다국어 지원 시 고려해야 할 요소

1. 언어별 텍스트 길이 차이

  • 영어 대비 독일어, 프랑스어, 한국어는 텍스트가 훨씬 길거나 짧을 수 있음
  • 버튼 크기, 카드 영역 등 유동적인 레이아웃 설계 필요

2. 날짜/시간/통화 형식

  • 예: 2025.05.26 (한국) / 05/26/2025 (미국) / 26.05.2025 (유럽)
  • ISO 표준 형식 또는 locale 기반 포맷 적용

3. 읽기 방향 (LTR / RTL)

  • 아랍어, 히브리어 등 RTL 언어는 전체 UI 흐름이 반대로 전환되어야 함
  • 레이아웃, 아이콘, 버튼 방향 모두 대응 필요

4. 폰트와 타이포그래피

  • 특정 언어(한글, 아랍어, 힌디어 등)는 고유의 폰트를 사용해야 가독성이 확보됨
  • 모든 언어에 적용 가능한 글로벌 폰트 또는 언어별 커스터마이징 고려

5. 콘텐츠 문화적 적합성

  • 이미지, 색상, 표현 등이 문화마다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 예: 특정 손동작 이모티콘, 색상 의미 차이(흰색: 서양=순수, 동양=죽음)

UI/UX 디자이너가 주의해야 할 점

1. 텍스트의 유연성을 고려한 Auto Layout 설계

Figma나 Sketch에서는 Auto Layout을 활용해 언어 길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합니다.

2. 고정 크기 대신 상대적 공간 설정

텍스트가 길어질 때 UI가 깨지지 않도록 min-width, max-width, flex 설정 등 상대적 크기를 적극 활용합니다.

3. 언어별 QA 체크리스트 마련

다국어 번역이 적용되었을 때 다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 줄바꿈 오류, 잘림 현상
  • UI 오버플로우
  • 번역 오류(문법, 톤)

개발 측면에서의 i18n 준비사항

  • i18next, react-intl, vue-i18n 등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텍스트 추출 및 다국어 JSON 파일 관리
  • 언어 선택 UI(드롭다운 등) 및 사용자 설정 저장
  • 서버/클라이언트 모두 다국어 대응 로직 구현 필요

실제 적용 사례

  • Airbnb, Spotify, Netflix는 수십 개 언어를 지원하며, UI 흐름, 문화, 고객지원까지 철저하게 로컬라이징되어 있음
  • Google은 dir="ltr" / dir="rtl" 뿐 아니라 지역별 콘텐츠 구성 및 검색 결과까지 다국어에 따라 달라짐

요약

항목설명
Localization콘텐츠를 특정 언어/문화권에 맞게 번역하고 맞춤화하는 작업
Internationalization다국어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설계하는 작업
필요성글로벌 시장 대응, 사용자 만족도 향상, 접근성 개선
주요 요소텍스트 길이, 날짜/통화 포맷, 방향성(LTR/RTL), 문화적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