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러의 법칙은 인간의 작업 기억 용량과 작업의 복잡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심리학적인 원리입니다. 이 법칙은 1956년에 조지 A. 밀러(George A. Miller)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매직 넘버 7±2″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밀러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번에 약 7개 정도의 정보를 기억하고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중요한 것은 7개라는 개수가 아니라, 정보의 그룹화입니다. 사용자가 쉽게 처리하고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정보의 덩어리를 작게 나눠 구분해야 합니다.
- 밀러의 법칙은 인간의 작업 기억 용량에 관한 한계를 제시합니다. 작업 기억이란 단기적으로 정보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인지 과정을 말합니다.
- 밀러는 사람들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에 제한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번에 약 7개 정도의 정보를 인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며, 이 범위는 약간의 변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활용 사례
- 정보 구성: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리젠테이션 레이아웃, 웹 페이지 구성 등에서 밀러의 법칙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정보와 기능을 7개 정도의 단위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되고 처리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 목록 및 메뉴: 메뉴 항목이나 목록의 수를 7개 이내로 제한하여 사용자가 쉽게 선택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합니다. 너무 많은 항목이 포함된 메뉴는 사용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 밀러의 법칙은 작업 기억 용량의 한계를 보여주지만, 각각의 개인이나 작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개인의 인지 능력이나 작업의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해야 합니다.
- 법칙을 과도하게 해석하여 항목을 강제로 7개로 제한하거나 정보를 너무 단순화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디자인 결정은 사용자의 요구와 작업 특성을 고려하며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 중요한 정보나 기능이 7개 이상인 경우, 그룹화, 우선순위 설정, 검색 기능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밀러의 법칙은 인간의 작업 기억 용량과 작업의 복잡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며,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정보 구성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용자의 인지 능력과 작업 특성을 고려하며 디자인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