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상학이라고도 하며, 아이콘에 대한 것으로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이 있지만, 단순 스타일로 접근하기보다 기호학에 의거하여 최대한 직관적인 정보 전달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함.
아이콘
아이콘은 기호의 일종으로 의미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시각적 언어체계이다. 웹 혹은 앱 UI에서는 주로 24*24 / 20*20과 같이 작은 사이즈로 제작됨. 아이콘의 형태가 본인만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추상적이거나, 너무 복잡하다거나, 아이콘끼리 스타일이 다른 경우는 지양해야 함.
또한, Live area 안에 도형 그래픽이 들어가야 하므로 2dp씩 여백을 두고 작업해야 함.

키라인(Keyline)
아이콘의 모양에 따라 시각 보정이 필요한데 이를 반영하여 제작하도록 도와주는 가이드라인을 키라인이라고 함. 정사각형, 정원, 직사각형에 따라 비율을 다르게 적용해야 아이콘 전체를 모아놓고 봤을 때 균형감을 가질 수 있음.

주의점
본인만 알아볼 수 있다거나, 너무 복잡하다거나, 아이콘끼리 스타일이 다른 경우는 지양해야 함.
관련 키워드
시각보정
참고 : https://material.io/design/iconography/system-icons.html#system-icon-metrics